김민경 교수는 2015년 제26차 대한혈액학회에서 조혈모세포 이식이 불가능한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30여 개 기관이 참가한 전향적 연구 결과를 발표해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 금년에는 75세 이상 초고령의 한국인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과연 어떤 치료가 가장 적절할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해 또 한번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다발골수종은 비정상적인 형질세포가 골수에 증식해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게 되는 혈액암으로 인구의 노령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도 그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해 2012년 이후에는 성인 혈액암 중 2위의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증상 완화와 생존기간 연장을 위해서 항암화학요법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는데 현재 이식이 불가능한 환자에서는 보르테조밉, 멜팔란, 프레드니손 병합요법이 표준치료이다. 하지만 75세 이상의 초고령 환자들에게 이러한 복합항암화학요법이 과거의 고식적인 치료법에 비해 얼마나 효과적인지 분석된 바가 거의 없어 이 연구 결과가 향후 초고령 다발골수종 환자의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손중모 기자 jmson220@gailbo.com |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산의료원 중국서 의료진 교육, 진료, 인민병원 협약 (0) | 2016.06.22 |
---|---|
세계 학회인들 ‘화들짝’ (0) | 2016.06.21 |
계명대 동산병원, 베트남인 2명에 새인생 선물 (0) | 2016.06.19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일반인 대상 호스피스완화의료 세미나 성료 (0) | 2016.06.16 |
계명대 동산병원 16일부터 가정형 호스피스 실시 (0) | 2016.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