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성공률·생존율 97%,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도 성공… 지역 내 부동의 1위 |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최동락 교수/외과)는 지난달 10일 ‘B형 간염에 의한 간경화 및 간암’을 앓고 있던 52세 남자 환자에게 ‘혈액형 부적합 생체 간이식’을 실시해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무리하며, 건강한 모습으로 지난 1일 퇴원시켰다.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2003년 3월 처음으로 뇌사자 간이식을 성공했으며, 2008년 10월 100례 달성을 시작으로 이후 2010년 6월 200례, 2012년 2월 300례, 2013년 6월 400례, 2015년 5월 500례, 그리고 올해 1월 꾸준한 노력과 함께 생체간이식 456례, 뇌사자 간이식 144례를 포함한 간이식 600례를 달성하며 지역 간이식 분야에서 부동의 1위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지역에서 최초로 2대1 생체 간이식수술을 성공했으며, 같은 해 3월 국내 최초로 전격성 간부전 환자에서의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수술을 성공했다. 더불어 2011년 2월에는 지역 최초로 간-신장 동시이식 수술, 2013년에는 췌장-신장 동시 이식수술(1월), 췌장이식 수술(5월) 등의 고난이도 기술이 필요한 이식수술의 성공을 이루었다. 특히 지난달에는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한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50례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더 이상 수도권으로 간이식 수술을 받으러 가지 않아도 되는 놀라운 의료기술을 선보였다. 이는 서울 대형병원을 제외하고는 지역에서 최초이자 가장 많은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사례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실시하는 간이식 수술은 수술 후 1년 생존율 및 수술 성공률이 97%에 육박한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대구·경북 지역 외에도 전국 여러 곳에서 간이식을 받기 위해 많은 환자들이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을 찾고 있으며, 간이식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를 위해 원스톱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의료진과 전문 코디네이터 및 간호사들이 한 팀을 이루어 간이식 전후에 발생하는 여러 질환에 대한 교육과 상담 등의 체계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장기이식센터장 최동락 교수는 간이식 600례 달성과 관련해“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의 수준 높은 간이식 수술은 서울의 대형병원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며 “말기 간경화나 간암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새 삶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현재의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손중모 기자 jmson220@gailbo.com |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명대 동산의료원, ‘고객의 소리’ 전시 (0) | 2017.02.09 |
---|---|
루게릭병·전두엽 치매 유전자 발견 (0) | 2017.02.08 |
동산병원, 대한심폐소생협회 베스트상 수상 (0) | 2017.02.07 |
계명대 동산의료원 송광순 교수, 한국 의학한림원 정회원 선출 (0) | 2017.02.06 |
계명대 동산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평가 1등급 (0) | 201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