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경안일보 | 2013대장경세계문화축전(이하 대장경축전)이 많은 사람들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45일간의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경남도와 합천군, 해인사 공동 주최로 9월 27일부터 11월 10일까지 한 대장경축전은 여러모로 성공적인 축전이었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당초 목표로 세웠던 목표관람객 160만명을 훨씬 초과, 구름인파를 불러 모으면서 7일 현재 176만 여명으로 이미 10%의 목표관람객 초과달성을 이루어 냈다. 이같은 관람객 목표초과 달성은 45일 축제 기간 중 시작과 함께 10여일 이상 비가 오고 태풍까지 몰려온 상황에서 이룬 성과여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외국인 관광객도 폐막 4일 앞두고 당초 목표로 세워두었던 5만 명을 이미 돌파함으로써 명실 공히 기획재정부가 인정하는 국제대회의 위상을 과시했다. 현재 기재부가 인정한 국제대회는 경남에서는 대장경축전과 산청엑스포 등 3건이고 전국적으로 총 16건에 불과해 더욱 뛰어나다는 평가다. 대장경축전은 경상남도와 합천군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나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행사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4,000억 원 이상 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대장경축전조직위가 축전기간 중 933 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샘플 조사한 결과, 관람객 1인당 전체 평균 지출비용이 숙박비 3만646원, 교통비 1만8,977원, 식음료비, 쇼핑비 등 총 11만3,168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객이 200만 명 일 경우 2,263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축전장과 해인사 일대의 숙박업소, 음식점, 슈퍼 등은 대장경축전의 대박행진과 함께 덩달아 호황을 맞았으며, 인접한 경상북도 고령군과 성주군도 때아닌 특수를 맞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직접적인 경제효과보다는 대장경축전을 통해 얻어지는 경상남도와 합천군의 브랜드 가치 상승, 합천군의 사회자본(Social Capital) 축적에 등 보이지 않는 비경제적인 효과는 이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돈으로 환산 할 수 없을 만큼 클 것으로 분석된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아쉽거나 개선이 필요한 점도 지적되었다. 도로사정, 숙박시설 부족 그리고 쇼핑에 필요한 편의시설의 부족 등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우선 일일 10만명 이상의 인파를 수용하기에는 도로사정이 지나치게 좋지 않았다. 축전장서부터 해인사 입구까지 6Km 구간의 왕복 2차선과 주차시설을 감안해 축전장부근에 주차시설을 충분히 확충하고, 승용 차량 진입을 제한하고 셔틀버스를 늘려 교통을 원활히 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또 체류형 관광지가 될 수 있도록 숙박시설과 편의시설의 확충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임상규 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교수는 “대장경축전은 대장경이라는 문화원형을 가지고 축전을 펼친다는 측면에서 특색있는 축제다”며 “앞으로 체류형 관광객 유치를 위해 호텔 등 숙박시설의 보완이 필요할 것”리고 말했다. 손중모 기자 jmson220@gailbo.com |